수도권서부환경본부

자연과 인간을 위한 건강하고 행복한 환경조성을 위해 앞장서겠습니다.

자료실

"물관리 일원화에 대한 8가지 질문과 답변" 상세페이지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내용, 파일 정보를 제공합니다.

물관리 일원화에 대한 8가지 질문과 답변

  • 작성자홍은경
  • 작성일2017-09-29
  • 조회수6821

Q .수질관리를 담당하는 환경부가 수자원 업무를 전담하는 것은 환경감시라는 본래 기능에 맞지 않은것 같습니다.


A.

□ 발원지부터 하구까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하천과 물에 대한 관리는 “통합”이 전 세계적인 추세임

 ㅇ EU 회원국을 중심으로 한 유럽국가들은 2000년 물관리 일원화를 목표로 제시한 물기본지침*(Water Framework Directive)에 따라 물관리를 일원화해 나가고 있으며, 대부분 환경관련 부서에서 물관리 업무를 수행 중임

    * (EU 물기본지침 채택배경) 좋은 수질의 물을 충분히 확보하는 요구 지속 증가, 물의 지속가능한 관리?보전을 위해 통합 물관리와 유역 중심 거버넌스 확립 제시
    ※ OECD에서는 2차례('06, '16)에 걸쳐 이원화된 물관리를 통합할 것을 권고한바 있으며, OECD 35개 회원국 중 20개국 이상에서 환경부서 중심으로 물관리 업무를 담당


□ 이러한 흐름은 물관리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는 것에 기인함

 ㅇ 첫째, 대규모 물 개발 중심에서 효율적?균형적 물관리가 필요한 시대임. 우리나라는 댐 건설* 등 지속적인 수자원 개발로 공급능력은 일정부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대규모 다목적댐 합천댐('89년)을 마지막으로 '90년대는 중규모(임하댐 '93년, 부안댐 '96년), '00년대 이후는 중소규모댐 건설(횡성댐 '02, 장위댐 '10 등)

  - 수자원장기종합계획(국토부)의 2020년 물수급 전망을 보면, '01년 계획에는 '20년에 약 26억㎥의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16년 계획(제3차 수정계획)에는 84.5%가 해소된 4억㎥ 수준으로 예측
  - 중권역 단위로 생?공?농업용수가 부족한 지역도 전국적인 63개('01년 계획에서 '11년 예측)에서 국지적 수준인 14개('16년 수정계획에서 '20년 예측)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


< ① '11년 용수부족율*('01년 예측) >

< ② '20년 물부족량('16년 예측) >
  * 용수부족율을 중권역(‘06년 개편) 기준으로 구분하는 과정에서 경계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출처 : ① 수자원장기종합계획('01∼'20, '01년 수립), ② 수자원장기종합계획('01∼'20) 제3차 수정계획('16년 수립)  [자체 부분 편집]

  - 지역적으로 부족한 수자원 문제는 대형댐 건설보다 소규모 식수전용댐, 하수처리수 재이용, 누수량 저감, 빗물 이용 등을 추진하면서,

    * 하수처리수 재이용수 공업용수 공급사업(‘30년 7.5억톤/년), 수돗물 누수량 저감사업(현재 수돗물 누수량 연간 6.9억톤) 등으로 신규 수자원 확보 효과 기대
  - 그간 확보해온 수자원의 엄격한 수질관리와 효율적 배분을 통해 해결 가능함


 ㅇ 둘째, 심화되고 있는 상?하류 갈등을 해소해야 함
  - 유역 단위에서도 수질(수계관리위원회)과 수량(하천위원회)이 분리?운영되어 지역 물문제 해결이 어렵고 갈등만 장기화되고 있음
  - 갈등의 원인*을 수질/수량으로 구분할 수 없어, 어디에서도 책임지고 해결할 수 없는 상황임

    * (사례) ①대구-구미 취수원(수량) 이전(수질악화, 수질규제 신설 우려), ②부산-경남 취수원(수량) 이전(물부족 우려, 지역정서), ③용인·안성-평택 상수원보호지역(수량?수질) 관련 갈등(물부족 우려) 등

 ㅇ 셋째, 가뭄?홍수 등 기후변화가 심화되고 있어 그에 대비하는 물관리 체계를 갖춰야 함
  - 즉, 관련 정보?자산?기능*(강수량, 댐 수위, 하천유량, 풍속 등)에 대한 연계를 강화해야 재해를 예측하고 예방하는 능력이 향상되고 합리적 의사결정도 가능해짐

    * (환경부) 수질측정망, 수질예보제 등 / (국토부) 홍수통제소?수공 정보망(실시간 수문?수질정보, 수질예측시스템, 댐?보 용수공급시스템 등)
  - 아울러, 가뭄?홍수 대비를 위해 국토 곳곳에 산재해 있는 관련시설 간 최적 통합운영(댐?보, 하?폐수 관련 시설 등)이 가능해져 유량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기대함

□ 우리나라는 현재 국토부에서 수자원 개발, 광역?공업상수도, 하천정비 업무를, 환경부에서 수질관리, 지방상수도, 하천복원업무를 수행해 오고 있으나, 세계적 추세인 통합 물관리에 맞춰 환경부로 일원화하는 것이 필요함


이후 질문에 대한 답변은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세요.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물관리 일원화가 무엇이지?? 핵심카드 공유
다음글 물관리 일원화 어디까지 알고 있니? -웹툰편
  • 담당부서 :
  • 담당자 : 나미진
  • 연락처 :

최종수정일 : 2023-04-2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