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한국환경공단 전북환경본부

전북환경본부

자연과 인간을 위한 건강하고 행복한 환경조성을 위해 앞장서겠습니다.

공지사항

환경성 보장제 2026년부터 전면확대됩니다!

  • 작성자이지연
  • 작성일2025-11-10
  • 조회수82

안녕하세요 방긋



환경성보장제가 2026년부터 전면 확대됩니다! 



환경성보장제란?


전기·전자제품과 자동차의 재활용 촉진을 위해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의 전 과정 환경부하 최소화를 

유도하는 제도로서,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 촉진을 위한 환경성 보장제 2026년부터 전면확대 모든 전기·전자제품 제조·수입 또는 판매사는 폐전기·폐전자제품 회수재활용 의무를 이행하여야 합니다. 전기전자제품 (기존) 50종(이후) 전 품목 QR링크 : 제공되지 않음 (한국환경공단)


이러한 환경성 보장제가 2026년부터 전면확대됩니다!

2026년부터 모든 전기·전자제품 제조·수입 또는 판매사는 폐전기·전자제품 회수·재활용 의무를 이행하여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팜플렛을 참고해주세요 :) 


www.ecoas.or.kr 전기·전자제품 제조·수입업자 홍보용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 촉진을 위한 환경성 보장제 Eco-Assurance System of Electrical-Electronic Equipment and Vehicles 2026년부터 모든 전기·전자제품 제조·수입업자는 폐전기·전자제품 회수·재활용의무를 이행하여야 합니다. 환경부 / 한국환경공단 EcoAS 환경성보장제 환경성보장제란? 전기·전자제품과 자동차의 재활용 촉진을 위하여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의 전 과정 환경부하 최소화를 유도하는 제도로서,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으로 2026.1.1.부터 환경성보장제 대상 품목이 모든 전기·전자제품으로 확대됩니다. [근거: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 ※ 전기전자제품이란? 전류와 전자기장을 생성, 이동, 전송 또는 측정하거나 전류 또는 전자기장에 의하여 작동하는 기계·기구를 말합니다. (단, 직류 1,500V 이하 또는 교류 1,000V 이하) 의무대상자 전기·전자제품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사업장으로서,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장 / 제조·수입업자 의무사항 [의무대상자, 제조·수입업자 의무사항 표 내용은 하단 테이블을 확인바랍니다.]

의무대상자 - 구분, 의무대상자 내용이 포함된 표
구분 의무대상
사전예방 전기·전자제품 제조·수입업자(매출액/수입액 규모 무관)
사후관리 의무이행 전년도 전기·전자제품의 매출액 10억원 이상 / 의무이행 전년도 전기·전자제품의 수입액 3억원 이상
제조·수입업자 의무사항 - 구분, 의무대상자 내용이 포함된 표
구분 의무대상
사전예방 유해물질 함유기준 준수 및 준수공표 재질·구조개선사항 평가 및 평가대장 기록·보존 재활용정보 제공
사후관리 회수·인계·재활용의무(재활용의무량 달성) 재활용의무이행계획서, 출고·수입실적서, 재활용의무이행결과보고서 제출 관리표 작성·제출(폐전기·폐전자제품을 운반하거나 재활용하는 경우)

사전예방규정 핵심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해물질 함유기준: 납, 수은, 육가크롬 등 10가지 특정 유해물질에 대한 최대 허용 함량을 규정합니다. 준수 여부 공표: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는 제품 출고/수입 신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EcoAS 시스템에 준수 여부를 공표해야 합니다. 재질·구조 개선: 49종의 전기·전자제품 중 대표 모델을 선정하여 재질·구조 개선 평가를 수행하고 기록·보존해야 합니다. 재활용 정보 제공: 재활용 사업자의 요청 시, 제품 내 유해물질 위치 및 제거 방법 등 재활용 관련 정보를 1개월 이내에 제공해야 합니다.

사후관리규정 핵심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조·수입업자는 제품군별 재활용 의무량을 달성해야 하며, 미달성 시 재활용 부과금이 부과됩니다. 의무 이행 절차에 따라 재활용의무이행계획서, 제품 출고·수입실적서, 재활용의무이행결과보고서를 기한 내 제출해야 합니다. 의무 이행 방법으로는 직접 회수·재활용하거나 재활용사업공제조합에 가입하여 공동 회수·재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모든 서류 및 관리표는 운영관리정보체계(EcoAS, www.ecoas.or.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이전 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고품질 재활용품, 가치있게 돌려받는 그린리턴(Green-Turn) 사업을 소개합니다!
  • 담당부서 : 환경서비스지원부
  • 담당자 : 이지연
  • 연락처 : 063-279-0885

최종수정일 : 2025-09-1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