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6) 한국환경공단, 대한민국 국제물주간 2023 공동 주최
한국환경공단, '대한민국 국제물주간 2023' 공동 주최
□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안병옥)은 6일부터 9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환경부 등과
‘대한민국 국제물주간(Korea International Water Week 2023)’을 공동주최*한다.
* 환경부, 대구시, 한국환경공단, 수자원공사 공동주최하고, 사단법인 한국물포럼 주관
○ ‘대한민국 국제물주간 2023’은 물 산업의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고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16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대규모 국제행사다.
○ 이번 행사에서는 기후위기 상황에서 발생하는 물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전 세계의 노력과
해결책을 논의하고, 물 관련 첨단기술 전시를 비롯한 해외 발주처와 국내 물 기업 간 교류의 장이 열린다.
○ 올해는 ‘인간과 자연을 위한 지속가능한 물 관리’라는 대주제 하에, ‘기후위기에 강한 물 재해 위험 관리’를
화두로 삼는다.
○ 공단은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물관리’와 ‘물산업 육성과 물기업 해외진출’을 주제로
국제세미나, 기업설명회, 테크니컬 투어, 홍보전시관 운영을 진행할 예정이다.
□ 공단은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물관리’를 주제로 ‘K-eco 기후대응사업 설명회’와
‘유역물관리 국제세미나’를 진행한다.
○ 7일 오전에는 ‘K-eco 기후대응사업 설명회’를 통해 기업의 탄소중립과 신규사업 발굴지원을 위한
기후대응기금 제도과 운영계획,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 스마트생태공장 사업, 국제협력 감축사업
4개의 주제를 발표한다.
○ 7일 오후에는 ‘유역물관리 국제세미나’를 통해 수질개선과 녹조관리를 위한 유역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발표와 토론을 진행한다.
○ 발표는 유역관리의 세계적 트렌드(미국 미시건대), 신종오염물질의 유역기반관리(미국 네바다대),
자연기반해법을 통한 유역관리(공주대), 독일의 녹조 문제와 부영양화 대응(독일 율리히연구센터)
4개의 주제를 발표한다.
○ 토론은 박정수 한밭대 교수를 좌장으로 일본 도쿄대 Fumiyuki Nakajima 교수, 튀르키예 이스탄불대
Cevza Melek Kazezyilmaz Alhan 교수, 태국 치앙마이대 Puangrat Kaewlom 교수가 참여하여
유역물관리의 국제동향을 논의한다.
□ 또한 ‘물산업 육성과 물기업 해외진출’을 주제로 ‘물산업 육성전략 국제세미나’, ‘한국-카타르 공동포럼’,
‘해외바이어 초청 기술 발표와 비즈니스 상담회’, ‘국가물산업클러스터 테크니컬 투어’를 진행한다.
○ 6일에는 ‘물산업 육성전략 국제세미나’에서는 각국의 물관리 현안과 기술개발, 물산업 육성과 협력 방안 등을
공유하여 국내 물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방안을 논의한다.
○ 7일 ‘한국-카타르 공동포럼’에서는 국가물산업클러스터와 카타르대학 간 공동연구 주제를 발표하고,
대한민국-카타르 간 물산업 협력 네트워크 기반 구축과 국내 물기업의 중동물시장 진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 또한 6일부터 8일까지 ‘해외바이어 초청 기술 발표와 비즈니스 상담회, 테크니컬 투어’를 진행한다.
베트남 DNP Water 등 해외바이어를 초청하여 국내 물기술·제품 홍보 및 국내 물기업의 해외시장 판로
개척지원을 도모한다.
□ 이밖에도 공단은 ‘물산업클러스터-카타르대학 간 물산업 업무협약’을 통해 국내 물산업의 중동 물시장 진출
지원체계 구축을 추진한다. 또한 ‘홍보전시관’ 운영을 통해 공단 물 분야 사업소개와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입주기업 등을 홍보할 예정이다.
□ 안병옥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대한민국 국제물주간은 전 세계 물 관련 전문가와
기업들이 모이는 우리나라 최대 물 분야 국제행사다”라며 “공단은 국내 물 기업의
해외 진출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한 물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붙임 1. 사진자료
2. 대한민국 국제물주간 2023 개요 1부.
3. 대한민국 국제물주간 2023 공단 프로그램 1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