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공단

부산울산경남환경본부

자연과 인간을 위한 건강하고 행복한 환경조성을 위해 앞장서겠습니다.

사업소개

비점오염저감사업

빗물과 함께 하천을 오염시키는
비점오염을 아시나요 ?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라 포장면적 등의 증가로 오염된 빗물이 땅으로 흡수되는 면적이 감소되어, 강우 시 토양 및 식생에 의한 자연정화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하천에 바로 유입된 유출수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공단은 비점오염관리를 위해 환경부, 지방자치단체와 비점오염저감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업개요

비점(非點)오염원의 정의
  • 평상시 고농도로 지표면에 축정되어 있는 다양한 오염물질들이 강우 시 불특정장소에서 빗물과 함께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을 악화시키는 것을 말함
도로변 배수구로 오염된 빗물이 흘러들어가는 모습 토사와 쓰레기가 쌓인 불특정 장소의 빗물 유입구 흙탕물이 하천으로 흘러들어가 수질을 오염시키는 장면

사업효과

  • 물의 자원순환 복원
  • 강우 유출량 저감으로 강우 시 지하수함량이 증가하여 수질개선 및 지하수 고갈 해소, 온실가스 저감, 열섬현황 완화로기후변화 적응수단으로 저영향개발기법(LID)활용

사업현황

주요사업
빗물 침투와 식생을 통한 도시 물순환 개선을 보여주는 입체 도시 모형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사업

  • LID시설의 여과, 침투 기능에 의한 수질개선
  • 유출수가 토양 속으로 침투하여 지하수 함양 증가
  • 식생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흡수
  • 식생의 증발산 및 태양광 반사에 의한 열섬현상 완화
  • 식생 식재에 따른 녹지면적 증가 → 경관개선, 온실가스 저감

※ 물순환 선도도시의 정의 :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 확대로 홍수, 하천 건천화 등 물순환 문제가 가중된 도시를 저영향개발(LID) 기법을 적용하여 물순환 건전성을 회복하는 도시

나무와 식생이 배치된 도시 보행로와 광장 모습

저영향개발(LID) 기술요소를 적용한 빗물유출제로화 시범사업

  • 식생체류지, 나무여과상자 등 저영향개발기법적용으로 도시의 왜곡된 물순환 문제 회복 및 도심생태환경개선 → 강우 시 홍수 및 수질악화에 사전대비하고, 가뭄 시 하천 건천화 등 물순환 왜곡 해소

※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의 정의 : 주거지, 상업지역, 산업지역 등 개발지역에서 자연 상태의 수문특성과 유사하도록 기존지역의 특성을 최대한 보전, 이용하는 개발방법.

오염물질 이동 경로 분석을 위한 측정 장비 사진

비점오염물질 이동경로 및 부하율 산정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강우에 의해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실측자료 확보 및 추세 파악
  • 비점오염물질 정량화, 유출특성 파악을 통해 정책수립 기초자료 확보
  • 과학적 비점오염원 관리의 기반 마련
비점오염저감계획 및 저감시설 설치신고서 기술검토
사업자 → 저감계획 수립 → 신고 및 면제신고 → 신고필증 교부 → 시설 설치 → 시설 유지관리 → 유역 및 지방환경청 → 한국환경공단.

「물환경보전법」에 의한 비점오염저감계획 및 저감시설의 설치 적정성에 대한 기술검토기관으로 관련 기술검토 수행

비점오염원관리 홍보사이트 운영

비점오염원관리 홍보사이트(https://water.nier.go.kr/web/board/14/?pMENU_NO=192)를 통해 비점오염 관련 최신 소식 및 자료 제공

비점오염저감사업 시범시설 설치 사례
논산시 연무읍양지리(인공습지)

논산시 연무읍양지리(인공습지)

용인시 삼계리(침투도랑)

용인시 삼계리(침투도랑)

용인시 왕산리(여과형시설)

용인시 왕산리(여과형시설)

위·수탁 사업현황
위·수탁 사업현황 리스트로 사업명, 사업비(백만원), 사업기간, 추진현황에 대한 테이블입니다.
사업명 사업비(백만원) 사업기간 추진현황
김해시 물순환 15,000 '17 ~ '23 공사 준공
부천시 굴포천 42,000 '16 ~ '24 공사중
홍천군 자운지구 흙탕물 7,044 '18~'24 공사중
국가 비점오염물질측정망 설치·운영관리

<수계별 측정소 설치·운영 현황>  (단위 : 개소)

수계별 측정소 설치운영 현황에 대해 기존, 중권역, 소권역, 합계에 대해 구성된 테이블입니다.
기존 합계 중권역 소권역
합계 31 6 25
한강 11 2 9
낙동강 8 1 7
금강 10 2 8
영산강 2 1 1


<측정망 측정항목>

수계별 측정소 설치운영 현황으로 구분, 조사주기, 조사항목에 대해 구성된 테이블입니다.
구분 조사주기 조사항목
자동측정 실시간(1시간 간격)

수온, pH, DO, EC, 탁도

(중권역 추가) T-N, T-P, TOC

수동분석

평상시

36회 이상/년(평균 8일) BOD, SS, T-N, T-P, TOC

강우시

12회 이상/이벤트(2시간 이내 간격)

BOD, SS, T-N, T-P, TOC

담당부서 안내

담당부서 안내 리스트로 관할지역, 담당부서, 담당부서 연락처, 비고에 대해 구성된 테이블입니다.
관할지역 담당부서 담당부서 연락처 비고
총괄 본사 환경시설본부
수생태시설처 수생태설계부
032-590-4510
총괄 본사 환경시설본부
수생태시설처 수생태비점사업부
032-590-4491,7
총괄 본사 물환경본부
통합물관리처 비점시설검사부
032-590-5243 비점오염원
설치신고서
공사현장 인천,경기 수도권서부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1부
02-3153-0666, 0668
경기, 강원 수도권동부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1부
031-776-5230
부산, 울산, 경남 부산울산경남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1부
051-366-3803
대구, 경북 대구경북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2부
053-280-3894
충남, 충북 충청권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1부
042-939-2354
광주, 전남, 전북, 제주 광주전남제주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2부
062-949-0794
  • 담당부서 : 시설사업1부
  • 담당자 : 이경한
  • 연락처 : 051-366-3803

최종수정일 : 2023-07-18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