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한국환경공단

보도자료

※22년 1월부터 문화체육관광부의 「데이터 친화형 보도자료 표준(안)」에 따라 한글파일 확장자를 .hwp와 .hwpx 모두 사용합니다.

"(한국환경공단 보도자료 4.1)한국환경공단, 폐배터리 재활용 특성화 대학원 협약체결" 상세페이지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내용, 파일 정보를 제공합니다.

(한국환경공단 보도자료 4.1)한국환경공단, 폐배터리 재활용 특성화 대학원 협약체결

  • 작성자박주연
  • 작성일2025-04-01
  • 조회수94

□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임상준)은 3월 31일 국립부경대학교(총장 배상훈)와 ‘폐배터리 재활용 특성화대학원(이하 특성화대학원)’ 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협약은 배터리 원료공급망 안정성 확보, 국제환경규제대응, 순환이용성 강화 등으로 폐배터리 재활용 전문가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산업계 수용맞춤형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 공단은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지난 2월부터 환경분야 특성화대학원 통합 모집공고를 진행한바 있다.



□ 협약을 통해 국립부경대학교는 협약일로부터 5년간 전문인력 양성과 산학협력프로젝트에 필요한 경비, 인건비, 학업장려금 등 매년 4억 5천 만원의 국비를 지원받는다.



○ 또한 국립부경대학교(주관기관)는 부산대학교(참여기관)와 폐배터리 재활용 분야 협동과정을 신설해 특성화대학원으로 운영할 예정으로 이를 통해 우수한 석·박사 과정 신입생을 모집해 향후 5년간 50여명의 석·박사급 핵심기술인재를 양성해 나갈 예정이다.


□ 한편 한국환경공단은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을 녹색산업으로 중점 육성하기 위해 ‘전기차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를 올해 6월 준공예정으로 클러스터와 연계한 특성화대학원 운영을 통해 전문인력을 육성할 계획이다.   


□ 임상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배터리 산업의 새로운 미래먹거리로 대두되고 있는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분야의 특성화 교육을 통해 양성된 전문인력들이 산업계맞춤형 인재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 ”라고 말했다.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한국환경공단 보도자료 4.2.)한국환경공단, 산불피해지역 재난폐기물 처리 전사적 지원
다음글 (한국환경공단 보도자료3.31)한국환경공단,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 신속 성능평가 도입

메뉴담당자

  • 담당부서 : 국민소통실
  • 담당자 : 남유진
  • 연락처 : 032-590-3018
  • 담당부서 : 국민소통실
  • 담당자 : 박주연
  • 연락처 : 032-590-3013

최종수정일 : 2024-07-31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평가하기
페이지상단으로이동
닫기

환경정보 시스템

닫기

환경정보 앱 ※ QR코드를 찍거나 터치하면 앱 설치화면으로 바로 이동합니다.

가축분뇨 전자인계서 앱

현장정보(이동통신단말기)

한국환경공단 인재개발원